학회지
학회지검색
  Home > 학회지 > 학회지검색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지 제8권 제1호 2006년
임상연구


임신 후반부 3차원초음파로 측정한 태아신장부피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산부인과학교실
이현이,김석영,이순표,변아롱,오혜영,이호형,윤정혜


Fetal renal volume measurement with three-dimensional ultrasonography in the second half of pregnancy

HL Le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achon Medical School, Incheon, Korea

Objectiv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ultrasound and other imaging modalities, which can affect treatment in intramural pregnancy.

Methods:From January 1998 to October 2004, a total of 16 patients of intramural pregnancy admitted in hospitals attached to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Clinical characteristics,ultrasonographic features (such as size and location of suspected gestational sac, internal echogenicity,and fetal viability), pretreatment diagnosis through ultrasonography and other imaging modalities, and comparisons between final diagnoses after treatment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gestational weeks at diagnosis was 7.6±2.3 weeks. Major risk factors are past history of curettage (81.3%) and cesarean section (62.5%). Intramural pregnancies embedded on a previous cesarean scar were most common (62.5%). Most common clinical symptom was vaginal bleeding (75%). Before rupture of gestational sac, diagnostic accuracy of 2 dimensional (2D) ultrasonography was 66.7%, but decreased to 14.3% after rupture. After rupture, it was difficult to differentiate intramural pregnancy from degenerating myoma, other ectopic pregnancies such as cornual pregnancy, and gestational trophoblastic tumor, especially when it has vascular flow in doppler ultrasonography. Overall accuracy of intramural pregnancy was 43.5% by ultrasonography and increased to 62.5% when added other imaging modalities. Hysterotomy including laparoscopic approach, curettage or medical treatment with methotrexate were used and we could preserve uterus in all patients.

Conclusion: Our data shows that intramural pregnancies could be mostly diagnosed by 2D ultrasonography before the rupture of gestational sac. After the rupture of gestational sac, however,advanced imaging modalities, especially MRI might be helpful to improve the diagnosis of intramural pregnancy.

목적: 본 연구는 가톨릭의대 부속병원에서 최근 6년간 경험한 자궁벽 내 임신의 초음파 소견 및 자기공명 영상 소견을 통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한 자궁벽내 임신 환자 16예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나이, 산과력,및 위험 인자, 진단당시 임신주수 및 임상증상, 초음파 소견(임신낭으로 추정되는 종괴의 위치 및 특성, 크기, 태아 심박동 유무 및 도플러 혈류검사)을 바탕으로 한 초음파 진단과 MRI 등을 이용한 추가적 영상진단에 따른 치료 전 임상진단과 최종진단을 비교하였으며, 그에 따른 치료법을 알아보았다.

결과: 진단당시 평균 임신주수는 7.6±2.3주 였다. 주된 위험인자는 소파술(81.3%)과 제왕절개(62.5%)의 과거력이었고, 해부학적 위치상 기제왕절개 부위 근층에 임신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62.5%). 주된 임상증상은 질출혈이었다. 임신낭의 파열전 2차원 초음파 진단의 정확성은 66.7%였으나, 파열 후 14.3%로 감소하였다. 파열후에는 초음파상 자궁근종의 2차 변성, 자궁각 임신, 임신성 융모 질환과의 감별이 어려웠다. 전체적인 자궁벽내 임신의 초음파 진단율은 43.5%였고, 다른 영상진단을 추가하였을 때, 62.5%로 증가하였다. 자궁벽내 임신의 치료는 개복 또는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절개, 소파술,또는 methotrexate를 이용한 내과적 치료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자궁 보존을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임신낭이 파열되기 전 자궁벽 내 임신은 2차원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이 가능하나, 임신낭이 파열된 경우 초음파 진단이 매우 불명확해 지므로 자기 공명 영상 등의 비침습적 첨단영상기기를 이용하여 자궁벽내 임신을 진단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Key Word : Fetal renal volume, Three-dimensional ultrasonography, Pregnancy
  • 교신 저자 :
  • 전문 파일 : ViewView  Downdownload

  • 논문목록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