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

2020년 전공의 및 초심자를 위한 연수강좌
일시 : 2020년 3월 15일(일)
장소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3층 대강당

강좌소개

연자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장 박인양
강의명
인사말
연자
교육수련위원장 권자영
강의명
프로그램 소개

Session 0. 미리 학습하기 : 온라인 사전 강좌 (1주전 발송되며, 시청 후 참석바랍니다.)

연자
김희선 (동국의대)
강의명
초음파 기기의 구성과 조작법
강의소개
1) 초음파 기기의 종류와 사용방법을 이해한다.
2) 초음파 기기를 작동할 때 유의점을 이해한다.

Session 1. 초음파를 이용한 임신 확인

연자
홍유미 (차의과학대)
강의명
초음파 영상 획득과 단면의 이해
강의소개
1. 초음파 단면의 전,후,좌,우를 프로브의 움직임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2. 종단면, 횡단면, 관상면을 이해하고 프로브의 움직임을 통해 이를 획득할 수 있다.
연자
고지혜 (울산의대)
강의명
임신 초기 진단을 위한 초음파 계측
강의소개
1. 초음파를 통해 정상 임신 여부를 확인 하고, 정확한 임신 주수를 결정 할 수 있다.
2. 초기 임신시 반드시 평가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 알고 측정 할 수 있다.
연자
정윤지 (연세의대)
강의명
임신 1삼분기 정밀 초음파
강의소개
1) 임신 1삼분기 후기(11-14주) 정밀 초음파에서 볼 수 있는 구조를 알고, 정상과 비정상을 감별할 수 있다.
2) 임신 1삼분기 후기 초음파에서 반드시 계측해야 할 구조물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Session 2. 산과 초음파의 기본 검사 이해하기

연자
김우정 (가톨릭의대)
강의명
태아 성장 및 양수량의 평가
강의소개
1) 태아성장평가를 위한 정확한 fetal biometric measurements를 할 수 있다.
2) AFI, DVP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 양수량을 평가 할 수 있다.
연자
김유민 (중앙의대)
강의명
중기 정밀 초음파에서 확인해야 하는 핵심 구조
강의소개
1. 임신 중기 (18주 -24주) 정밀 초음파에서 확인해야 하는 구조물을 정확히 알고 측정할 수 있다.
2. 각 구조물의 정상 소견과 비정상 소견의 차이를 이해하고 구별할 수 있다.
연자
편승연 (경희의대)
강의명
자궁경부와 태반의 평가
강의소개
1. 자궁경부길이 측정의 정확한 방법을 숙지하고 정상과 비정상 소견을 기술할 수 있다.
2. 태반의 위치를 올바르게 파악한다.
연자
김현지 (서울의대)
강의명
도플러와 태아 생물리학적계수 검사
강의소개
1. 정확한 도플러 측정법을 알고, 임상적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2. 태아 생물리학적계수 검사의 종류를 알고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Session 3. 부인과 초음파의 접근법 이해하기

연자
한지연 (서울의대)
강의명
초음파로 보는 정상 해부학적 구조
강의소개
1. 자궁과 난소의 정상적인 구조를 초음파로 확인할 수 있다.
2. 월경 주기에 따른 자궁과 난소의 정상적인 변화를 감별할 수 있다.
연자
김성은 (성균관의대)
강의명
흔한 자궁 질환과 악성 감별하기
강의소개
1. 초음파 검사를 통해 흔한 양성 자궁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2. 자궁 내막과 체부의 악성 가능성 소견을 진단할 수 있다.
연자
이재훈 (연세의대)
강의명
흔한 자궁 부속기 질환과 악성 감별하기
강의소개
1. 난소 질환에서 양성과 악성을 구별할 수 있다.
2. 난소에서 수술해야 하는 질환을 구별할 수 있다.

Session 4. 임상에서 초음파를 잘 활용하는 방법

연자
김호연 (고려의대)
강의명
분만장에서의 초음파 활용법
강의소개
1. 진통 전 태아, 태반과 양수의 상태를 초음파를 활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2. 진통 중 분만의 진행단계를 다양한 초음파 지표를 활용하여 확인 할 수 있다.
3. 분만 후 초음파를 사용하여 산후 출혈의 원인을 구분하고 산후출혈의 처치에 초음파를 활용할 수 있다.
연자
김유진 (충남의대)
강의명
부인과 응급 질환 마스터하기
강의소개
1. 응급실 내원환자의 초음파 검사결과를 이용하여 부인과 응급수술 케이스를 감별할 수 있다.
2. 부인과 환자의 초음파 검사를 통해 입원 케이스와 외래 추적관찰 케이스를 감별할 수 있다.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Ultrasound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 서울성모병원 본관 9층 산부인과의국 내